장례상식
제사의 종류
기제(忌祭)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로써, 과거에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4대조까지 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 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만 기제를 지낸다. 제사 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지만,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진 뒤 아무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내는데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하며
장자나 장손이 없을때는 차자나 차손이 주관한다. 주자가례 (朱子家禮)나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는 기일을 맞음 고인 한분만을 모신다고 되어 있으나,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차례(茶禮)
음력으로 매월 초 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설, 추석등의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로서 4대조 까지를 동시에 지내며,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낸다. 무축단작(無祝 單酌)이라하여 축문이 없고 술은 한잔만 올리며 날이 밝은 아침에 지내므로 촛불을 켜지 않는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年始祭), 추석절의 절사(節祀)가 이에 해당되고, 제수와 절차는 기재에 따른다.
연시제(年始祭)
정월 초 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이며 봉사 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 였으나 요즘은 2대조 까지만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대상이 되는 여러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하는 경우 종이에 나란히 쓰고, 메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추석절 제사 절사(節祀)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로서,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사시제(四詩祭)
사시제는 보통 시제(詩祭)라고 부르는 것으로 사계절의 가운데 달(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고조부모 이하의 조상을 함께 지내던 합동 제사의 하나이다.
시제는 고전예법에서 정제(正祭)라고 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된 제사였으나, 조선시대 이후 기제가 중지 되면서 현재는 거의 지내지 않고 있다.
묘제(墓祭)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로서,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1년중 적당한 날을 하루 잡아서 산소를 찾아서 문중이 모두 함께 제사를 드린다.
한식(寒食)
한식은 청명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 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을 관습화 하였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邇祭)
부친의 사당제사를 말하며, ‘이’는 가깝다는 뜻이다. 계추(계추음력9월)에 지내던 제사로서 전달 하순에 날짜를 택일 한뒤, 사흘전 재계하고 하루 전 신위 모실 자리를 마련하고 제찬을 준비 한다.
제삿날 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제상을 진설한 뒤 제주 이하가 옷을 갈아입고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나와 제사흫 지낸다. 요즘은 일반적으로 시행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