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현재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0
 - 1999 - 1990
 - 1989 - 1980
 - 1979 - 1970
 - 1968 - 1960
 - 1958 - 1950
 - 1949 - 1945
 - 1942 - 설립
 
					1942
					
				
				
				- 
							
- 동대문부인병원이 강익하 · 황은순에게 매각
 
 
					1936
					
				
				
				- 
							12월
 - 
							
- 10일 동대문부인병원 경성탁아소 개설
 
 
					1935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4대 병원장에 안수경 취임
 
 
					1933
					
				
				
				- 
							
- 동대문부인병원 간호원양성학교 폐교
 
 
					1930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이 산부인과만 전담하는 동대문부인병원(East Gate Woman Hospital)으로 개편개칭
 
 
					1927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3 대 병원장에 버니타 블록 취임
 
 
					1922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2 대 병원장에 로제타 흘 취임
 
 
					1918
					
				
				
				- 
							
- 한국 최초의 국내파 여의사 안수경, 김영흥의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근무 시작
 
 
					1916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무료분만사업 실시
 
 
					1913
					
				
				
				- 
							
- 정동 보구녀관이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Lillian Ha rris Memorial Hospital)으로 통합, 초대 병원장에 메리스튜어트취임
 
 
					1912
					
				
				
				- 
							
- 보구녀관 10 대 병원장에 아만다 힐만 취임
 
 - 
							
-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 환자 진료 개시
 
 
- 
							9월
 - 
							
- 보구녀관 간호원양성학교를 신축한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으로 이전
 
 
					1909
					
				
				
				- 
							3월
 - 
							
- 보구녀관 9 대 병원장에 엠마 언스버거 재취임
 
 
					1903
					
				
				
				- 
							12월
 - 
							
- 보구녀관 간호원양성학교 설립, 초대 간호원장에 마가렛 에드먼즈 취임
 
 
- 
							3월
 - 
							
- 보구녀관 8 대 병원장에 메리 커틀러 재취임
 
 
					1901
					
				
				
				- 
							6월
 - 
							
- 보구녀관 7대 병원장에 박에스더 취임
 
 
					1899
					
				
				
				- 
							9월
 - 
							
- 보구녀관 6대 병원장에 엠마 언스버거 취임
 
 
					1897
					
				
				
				- 
							11월
 - 
							
- 보구녀관 5대 병원장에 릴리안 해리스 취임
 
 
					1893
					
				
				
				- 
							
- 보구녀관 4대 병원장에 메리 커틀러 취임
 
 
					1892
					
				
				
				- 
							
- 동대문에 보구녀관 분원인 볼드윈 진료소 설치
 
 
					1890
					
				
				
				- 
							
- 보구녀관 3 대 병원장에 로제타 셔우드 취임 , 여성의학 교육을 위해 이화학당 학생 5 명에게 의학 교육개 Al
 
 
					1889
					
				
				
				- 
							
- 과로로 본국으로 들아간 메타 하워드의 뒤를 이어 월리엄 스크랜튼과 맥길이 보구녀관 2 대 병원장을 맡아진료담당
 
 
					1888
					
				
				
				- 
							12월
 - 
							
- 고종이 부인병원에 보구녀관(普救女館)이라는 명명(命名) 하사
 
 
					1887
					
				
				
				- 
							10월
 - 
							
- 31일 여의사 메타 하워드의 도착과 함께 정동 시병원 별채에 부인병원을 창설하고 초대 병원장으로 취임
 
 
					1886
					
				
				
				- 
							
- 고종이 스크랜튼의 병원에 시병원(施病院)이라는 이름 하사
 
 
- 
							5월
 - 
							
- 윌리엄 스크랜튼과 그의 어머니인 이화학당 창설자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 남자들이 경영하는 병원에 여자들이 갈 수 없는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을 들어 미 감리교선교부 여자 외국선교회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에 부인병원 설립기금과 여의사 파견을 요청
 
 
					1885
					
				
			- 
							
- 미국 북감리교 의료선교사 윌리엄 스크랜튼이 정동에 자택을 개조해 민간 진료 시작, 이후 자택 인근 현정동제일교회 예배당 자리에 병원 단독 건물 구입
 
 
						Banner Title